여기서 하나 의문이 생긴다. 원형 에테르의 변화를 s 오비탈 쪽으로, 나머지를 p 오비탈 쪽으로 이동시킨 후 비교하는 것이 과연 적당했을까? 선형이 포함된 변화를 서로 모으면 그들만의 패턴이 나타나는 것일 수 있지 않을까? 조금 더 객관적인 비교가 필요할 것 같다. 다시 헬륨에서의 값들의 배치를 보자.

헬륨의 s, p 오비탈의 그래프
헬륨의 s, p 오비탈의 그래프

이전 장에서는 원형만 가진 s 오비탈을 한 기준으로 옮기고, 선형을 가진 나머지를 p 오비탈 쪽으로 이동시켰다. 새롭게 제시할 기준은 이 두 지점으로 옮긴 그래프를 좌표로 만드는 것이다. [O]로 옮긴 그래프를 0으로, [-]의 그래프를 100으로 잡았을 때 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위 그림에서 가장 위의 보라색 선을 100, 가장 아래의 붉은 점을 0으로 놓고 그 사이에서 점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는 것이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모든 점을 한 가지 기준으로 정렬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Between이라 부르고, 앞서 것을 Transform이라 부르기로 허자.

그런데, 위 그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은 점의 위치가 아니라 이전 값에서 얼마나 변하였는지를 보는 것이다. 따라서 11(x+1)21-\dfrac{1}{(x + 1) ^ 2} 형태가 아닌 1x21(x+1)2\dfrac{1}{x ^ 2}-\dfrac{1}{(x + 1) ^ 2}을 사용할 것이다.

아래쪽 그래프들이 기준이 된다
아래쪽 그래프들이 기준이 된다
Rl(x)=r(1(x+kh)21(x+kh+1)2)R_{l}(x) = r(\dfrac{1}{(x + k_{h}) ^ 2}-\dfrac{1}{(x + k_{h} + 1) ^ 2})
k 값이 가장 높은 점으로 옮긴 방정식
Rh(x)=r(1(x+kl)21(x+kl+1)2)R_{h}(x) = r(\dfrac{1}{(x + k_{l}) ^ 2}-\dfrac{1}{(x + k_{l} + 1) ^ 2})
k 값이 가장 낮은 점으로 옮긴 방정식
Rh(x)Rl(x):100=pxpx1Rl(x):vR_{h}(x) - R_{l}(x) : 100 = p_{x} - p_{x-1} - R_{l}(x) : v
v=100(pxpx1Rl(x))Rh(x)Rl(x)\to v = \dfrac{100(p_{x} - p_{x-1} - R_{l}(x))}{R_{h}(x) - R_{l}(x)}

패턴이 나타나는지 보자.

수소

수소 오비탈 값의 Between
수소 오비탈 2S1/2 값의 Between
수소 에테르 값의 Between
수소 에테르 2S1/2 값의 Between

수소는 양쪽 모두에서 패턴이 나타난다. 수소는 뤼드베리 방정식으로 설명이 될 만큼 오차가 매우 작은 원소이기 때문이다.

헬륨

헬륨 오비탈 값의 Between
헬륨 오비탈 1S0 값의 Between
헬륨 에테르 값의 Between
헬륨 에테르 1S0 값의 Between

오비탈의 변화는 살짝 떨어지는 것과 살짝 올라가는 것이 있지만, 오차라고 볼 수 있다. 에테르 변화는 역시 뚜렷하게 나타난다. 조금더 변화량을 잘 볼 수 있는 높은 번호의 원소를 보자.

높은 번호의 원소들

베릴륨 오비탈 값의 Between
베릴륨 오비탈 1S0 값의 Between
베릴륨 에테르 값의 Between
베릴륨 에테르 1S0 값의 Between
소디움 오비탈 값의 Between
소디움 오비탈 2S1/2 값의 Between
소디움 에테르 값의 Between
소디움 에테르 2S1/2 값의 Between
세슘 오비탈 값의 Between
세슘 오비탈 2S1/2 값의 Between
세슘 에테르 값의 Between
세슘 에테르 2S1/2 값의 Between

공통적으로 p 오비탈이 좀 튀는 녀석으로 보이고, 여전히 에테르 분류법에서는 뚜렷한 패턴을 볼 수 있다. 이것으로 방정식을 만든다면 p를 예외로 주어야 할 것이다. 세슘과 같은 더 높은 원소로 가면 d 까지도 예외가 된다.

Transform과 Between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경향이 존재한다. 뤼드베리 방정식을 이동하는 것으로 꽤 오차가 적은 예측값을 얻을 수 있다. 그 적은 오차에서도 기존의 오비탈 분류법 보다는 원형을 우선 배치하는 에테르 분류법이 더 확실한 패턴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완전한 증거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혹시 맞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증명을 마치도록 하겠다.